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판 > 베스트글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목록
  • 댓글 (27)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소장 캔디화이트 24.06.24 17:47 답글 신고
    음...LFP만의 강점도 있죠.
    저렴한 가격 및 NCM보다 높은 안정성입니다.
    - 중국산 배터리 터져나가는 것은 제조 불량이지 LFP양극활물질을 사용해서 그런것 아닙니다.
    다만 급속충전할때 불리하고, 또한 아주 추운 겨울철에 성능 저하가 심각하게 일어난다..라는 점이 단점이죠.

    NCM도 장점만 있는것이 아니죠.
    대한민국 양극활물질 탑 업체는 그야말로 물량전으로 생산하고 있고, - 자세한건 때려죽여도 말 못합니다.ㅜㅜ
    반대로 제철에서 업종 다변화한 업체는 아직도 양산조건 잡지 못해서 수율이 개판이고요.

    원재료비 이외에도 생산환경을 보면은 확실히 LFP쪽이 생산단가라는 점에서 잇점이 크게 있습니다.
    질소분위기 vs 산소분위기
    Sagger의 수명
    소결온도 및 시간 등등...

    결론은 시장이 어느쪽 손을 들어주느냐 입니다만, 지금 추세로는 전기차 가격이 지속적으로 큰 폭으로 다운되고 있는데,
    아마 이 시장가격을 NCM이 맞출 수 있느냐..가 관건이겠네요.
    답글 3
  • 레벨 중장 CRDi16V 24.06.24 14:59 답글 신고
    중국산 전기차들이 유독 폭발이슈가 많았는데 lfp도 적지않았다더군요. 원인 또한 불규칙적인 충방전으로 인한 덴드라이트 생성 이후 절연파괴라고... 열폭주 온도 조차 lfp가 상대적으로 낮으니;;;;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중장 CRDi16V 24.06.24 15:03 신고
    @Shuri 불리한건 감추는게 중국 종특아님까
  • 레벨 중장 20인치 24.06.24 15:07 답글 신고
    짱슬라 급속물려도 150kw이상 안올라간다 캄미다 ㄷㄷ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15:24 답글 신고
    정확히는 170kW 이상 올라가면 열화가 심해져서 못하는거지여라... ㅎ
  • 레벨 중위 3 환혼인 24.06.24 15:10 답글 신고
    중국차 관련기사 안믿는게 좋음 판매량 뻥튀기해서 전기차 껍데기만 어느 시골지역에 쌓아놓고 잇는거 제보받은 기사도 봣네요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15:21 답글 신고
    그거같은경우 사실 23년도 1분기까지는 보조금 따먹기 맞고
    그 이후에도 생긴건 다른문제입니다.

    특히 언론에서 나온 항저우쪽 사진들은 보조금문제가 아닙니다.
    택시용 전기차의 표준이 조례가 생기니까 그걸 못맞춘 애들이 쌓인거...

    중국쪽에서 뭐 판매량 뻥튀기라기보다는...
    이유가 여러가지인데 한국에서 너무 보조금에만 몰빵해서 보도하는게 문제긴 합니다.
  • 레벨 원사 3 보토톡 24.06.24 15:15 답글 신고
    모든 브랜드의 고성능 전기차는 기본 NCM.
    애초에 LFP는 단가낮추기용일 뿐 전기차에 사용하기에는 수명 출력안정성, 충전속도, 안전성 모두 뒤떨어짐.
    삼원계 배터리 제대로 못만드는 짱깨놈들이나 메인으로 씀. 그나마 만든다는 CATL도 국내 배터리 3사 따라가기도 벅찬데 중국이 전기차 굴기하면서 한국 배터리 쓸리가요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15:23 답글 신고
    쓸걸요....?

    제가 아는 조상님들 몇분이 S사 꺼 배터리 테스트하신걸 제가 들었습죠. ㅎㅎㅎ
    (중국 전기차 브랜드)
  • 레벨 대위 2 Cruz5 24.06.24 15:18 답글 신고
    짱슬라 초반에만 볼수있는 최대속도 170 ㄷㄷㄷ
    dc콤보에 어댑터 충전만하면 수명걱정은 안하겠군여 x.x;;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15:24 답글 신고
    넹 완속만 돌리시면 사실 뭐 수명문제는 거의 걱정없다고 보시면 됨니다. ㅎ
  • 레벨 소장 캔디화이트 24.06.24 17:47 답글 신고
    음...LFP만의 강점도 있죠.
    저렴한 가격 및 NCM보다 높은 안정성입니다.
    - 중국산 배터리 터져나가는 것은 제조 불량이지 LFP양극활물질을 사용해서 그런것 아닙니다.
    다만 급속충전할때 불리하고, 또한 아주 추운 겨울철에 성능 저하가 심각하게 일어난다..라는 점이 단점이죠.

    NCM도 장점만 있는것이 아니죠.
    대한민국 양극활물질 탑 업체는 그야말로 물량전으로 생산하고 있고, - 자세한건 때려죽여도 말 못합니다.ㅜㅜ
    반대로 제철에서 업종 다변화한 업체는 아직도 양산조건 잡지 못해서 수율이 개판이고요.

    원재료비 이외에도 생산환경을 보면은 확실히 LFP쪽이 생산단가라는 점에서 잇점이 크게 있습니다.
    질소분위기 vs 산소분위기
    Sagger의 수명
    소결온도 및 시간 등등...

    결론은 시장이 어느쪽 손을 들어주느냐 입니다만, 지금 추세로는 전기차 가격이 지속적으로 큰 폭으로 다운되고 있는데,
    아마 이 시장가격을 NCM이 맞출 수 있느냐..가 관건이겠네요.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17:53 답글 신고
    전기차에서 보면 LFP는 당장은 저렴한데 과연 여기서 더 저렴해지려나...?
    그럼 살아는 남을수도...? 저렴해지지 못하면 나트륨한테 치이것죠.
  • 레벨 중장 원조집 24.06.24 20:35 답글 신고
    그 수명의 맹점이라는게 낮은 부하상에서임. 즉 일반적인 모터의 출력은 배터리의 용량이상인데 그걸 크게 못준다는게 치명적임 줄수는 있죠. 그대신 그 수명과 안정성이 떨어짐.

    그 수명 ncm보다 뛰어나고 안전성 높다는 그데이터의 조건이 바로 0.5C 기준임 즉. 배터리 용량이 100kw일때 모터 최대 출력 50kw 정도를 낼수 있는걸 조합했을때 나오는 수명이란 이야기임. 그거보다 더 고출력을 걸어 버리면 안정성과 수명의 하강속도가 상당히 빠름

    기본적으로 ncm은 약 2c정도에서도 안정적인게 기본임.

    지금 중국차들 엄청 고성능 모델은 다 ncm인게 현실임 고성능인데 lfp라?? 그냥 그차는 lpf의 그 안정성과 수명 담보 못한다는 이야기임
  • 레벨 원사 3 Shuri 24.06.25 09:40 신고
    @원조집 그래서 중국 BYD Han ev Performance 버전 차량들의 배터리는 맨날 교체징징글들이 올라오죠 ㅋㅋㅋ
  • 레벨 하사 2 숫탉 24.06.24 19:30 답글 신고
    iccu 펑펑~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19:56 답글 신고
    ? 배터리 이야기하는데 왠 iccu? 님 어디가서 눈치 없다는 소리 듣죠? ㅋ
  • 레벨 하사 2 숫탉 24.06.28 16:25 신고
    @Shuri 펑펑퍼퍼펑~
  • 레벨 병장 마가린케익 24.06.24 20:34 답글 신고
    보통 출퇴근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1주일에 1번 충전합니다.
    아파트에서 완속충전을 이용하구요.
    1년에 60회 이하의 충방전을 하고 있다보니 수명 걱정은 안해도 되겠네요.
    짱슬라라고 위에 댓글 남기신분들은 국내 돌아다니는 소나타 차량이 일부는 중국산이라는 걸 아시는지 모르겠네요.
    중국산이라고 무조건 까내리기보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쩔수 없는 선택중 하나가 아닐까요?
  • 레벨 중장 원조집 24.06.24 20:37 답글 신고
    ㄴ 그 일부 택시고 들어온지 몇달도 안되었음. 이미 99%이상의 쏘나타는 국산임.

    그리고 그 쏘나타가 짱깨산이여도 설계나 부품은 다 국산임. 엔진도 국내 설계 누우엔진 미션도 파워텍 6단 미션임. 그냥 중국에 맞게 변형된 모델 국내에 가져오는 것임
  • 레벨 병장 마가린케익 24.06.24 20:57 신고
    @원조집 코로나때 중국산 부풍 공급이 어려워 그렌져 소나타가 생산 차질을 격기도 했습니다.
    아무리 현대라고 해도 중국산 부품을 빼고 생산은 어렵습니다.
    테슬라도 설계는 미국에서 서스펜션은 남미에서, 타이어는 한국산을 사용합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어쩔수 없는거 아닌가요?
  • 레벨 원사 3 Shuri 24.06.24 20:59 답글 신고
    짱슬라 = 기가상하이
    양슬라 = 기가 텍사스
    아님?

    흠... 생산지 특성에 별명이나 이름 붙이는거야 그럴수 있지여라...
  • 레벨 대위 2 Cruz5 24.06.24 21:21 신고
    @Shuri
    내가 타는차가
    짱슬라라서 짱슬라고 한거뿐인것을....
    홍길동이라도 된줄 알았네예 x.x;;;
  • 레벨 원수 XLR8 24.06.24 22:37 답글 신고
    LFP가 나오게 된 것은 안전이 주된 이유로 알고 있습니다. BYD에 가장 큰 공이 있지 않나요.. 테슬라는 아니겠으나 어쨋든 중국 바닥에서 10년 전에 전기차를 이미 많이 팔면서 화재 문제로 홍역을 앓았었기에..
  • 레벨 원사 3 Shuri 24.06.25 09:39 답글 신고
    LFP는 안전이 아니라
    당시 비싼 삼원계를 대체하는 ESS용, 즉 전류량이 크지 않은 전력저장용으로 개발된겁니다.

    그리고 LFP의 안전은 BYD가 LFP를 모바일용으로 쓰면서 내세울게 그나마 그거뿐이라 내세운거입니다.
    실질적으로 안전하지도 않아요. 열화가 빠르다는건, 높은확률로 열폭주에 연관이 있습니다.
  • 레벨 원사 3 크크크다다다다 24.06.24 23:28 답글 신고
    집밥 회사밥만 먹이면 좋단 소리네 ㅋ
  • 레벨 원사 3 Shuri 24.06.25 09:39 답글 신고
    그럼 거의 최상의 조건입니다.
    다만 회사밥이 급속인곳도 있습니다 ㅎㄷㄷㄷㄷㄷ
    중국...ㅎㄷㄷㄷㄷㄷ

덧글입력

0/2000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